말씀드리기에 앞서 이 글은 한국에도 가오가이거나 에반게리온 등과 같은 메카닉 애니메이션이 나와줬으면...하는 바램과 안타까움에서 비롯된 글입니다. 또한 지극히 개인적인 관점에서 쓴 글이니 태클은 사양합니다.
저 태권브이 좋아해요~ㅋㅋ
한국 메카닉 로봇애니메이션 하면 바로 떠오르는 것이 태권브이. (현재까지도 마징가Z와 표절논란이 있지만 그건 관점의 차이로써 벤치마킹과 표절은 종이한장 차이라고 봅니다^^)
저도 어렸을 때 극장에서 재밌게 봤던 기억이 있지요. 태권브이는 칼이나 무기를 이용하지않고 한국의 무술인 태권도를 사용해서 적과 싸웠기때문에 세계 최초의 무술 로봇이라는 칭호를 갖고있다고 합니다. 한국 고유의 무술을 사용하고 그 내용 또한 한국적 색채가 강하다는 평을 듣고있는 태권브이. 그런 태권브이의 포스는 현재에 이르러 디지털복원이라는 기술력을 안고 다시 상영을 할 정도죠. 하지만 바로 이 한국적인 유일한 슈퍼로봇 태권브이가 엄청난 인기를 누렸다는 점이 현재 우리나라의 메카닉 애니메이션에 악영향을 끼치는게 아닐까요?
수많은 매니아를 형성하고있는 에반게리온은 가라데를 사용하지 않습니다. 사무라이의 검을 사용하는 것은 더더욱 아니지요. 가끔 기모노가 나오는 장면은 있지만 그렇다고 군데군데 일장기가 나오거나 빨간색을 강조하지도 않아요.
나름대로 여러가지 일본 메카닉 만화를 봤지만 적어도 많이 흥행했던 작품 중에는 그 만화안에서 그다지 일본만의 요소가 직접적으로 보이는 것은 없었습니다.(하지만 닌자는 좀 많이 나오죠^^; 인정..)
어쨌든 그러면서도 그 만화를 보면 일본꺼라고 대번에 알 수있는 이유는 그 만화들이 많이 알려졌기 때문이라고 생각해요.
많이 알려졌다는 것은 그만큼 재밌기 때문이잖아요.
결국 일본적이고 일본스러워서 재밌는게 아니라, 재밌기 때문에 많이 보고 일본이란 나라의 만화를 기억하게 된 게 아닌가요? 참 대단하죠. 일장기가 나오지도 않는데 일본만화를 선호하고 그 나라를 기억하게 되는 것이 참 신기해요.
그럼 반대로 우리 만화는 항상 어떤 문제에 봉착하나요? 컨셉단계에서부터 우선적으로 한국적인 것을 찾죠. 만화에 한국적인 요소가 있고 그것이 성공 했을 때만이 국위선양을 하는 것은 아닌데도요. 컨셉을 정함에 있어서 한국적인 것만 찾는 다는 것은 반대로 말하자면 주제의식의 한계를 불러온다고 볼 수있습니다. 게다가 태권브이가 한국의 무술을 사용하고 한국적인 정서에 맞는 주제였다는 것은 현재의 해석일 뿐, 근본적인 흥행성공의 이유라고는 볼 수 없어요. 흥행성공의 이유는 단순한 권선징악의 형태가 아니었던 참신한 내용과 그당시 힘들었던 사회분위기에 힘을 싣어줬다는 부분이 아닐까요? 그와중에 한국의 무술인 태권도까지 가미되어있으니 금상첨화죠.
이런 관점에서 보자면 제가 개인적으로 태권브이보다는 똘이와 제타로보트를 좋아하는 이유를 설명할 수 있겠네요.
내용이 재밌기도 했지만 끝부분에 여자아이가 사람을 치료하는 약 하나를 두고 지하세계왕을 살리느냐, 엄마를 살리느냐 고민을 하는 씬이 나오는데 이 부분의 갈등이 상당히 인상적이었습니다. 제타로보트를 좋아하는 이유가 태극마크가 나와서도 아니고 제타로보트가 태권도를 사용해서도 아니었다는 뜻이죠.
물론 이것만이 문제고 이것만 해결한다고 해서 될 일도 아니죠. 여러가지 현실적인 문제도 무시할게 못되니까요. 하지만 태권브이만 너무 집착하는 느낌이 들어서 너무 안타깝습니다.
너무 태권브이의 일부분만 갖고 문제를 제기했나요? 뭐 생각해보면 만화의 걸림돌은 많죠.
대표적인 것이 만화는 애들이나 보는 것이라는 사회적인 인식입니다.
일본에선 아직도 중 장년층이 만화를 봅니다. 나쁘게 말하면 허무한 것이지만 꿈을 잃지 않았다고 볼 수도 있죠. 뭐 아무렴 좋아요. 만화는 아이들이 보는 것이라! 그럼 한국적이고 두뇌개발을 꾀하며 교육적인 내용을 강요하며 유치하게 만들어야겠네요. 제가 대학교 1학년부터 4학년까지 다니면서 1학년때 없었던 가장 대표적인 과목분야는 바로 에듀케이션입니다. 그만큼 아이들의 교육과 문화적인 소양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많아지고 있다는 뜻인데 그런 관심이 만화, 영상 쪽에선 잘못된 방향으로 제재를 가하고 있는 것 같습니다. 저녁시간 TV에서 하는 애니메이션에 피가 튀기거나 심한 폭력장면이 나오면 방송금지 당하겠죠. 아이들이 흥미를 갖는 부분은 화려하고, 폭력적이고, 선정적인데(아이들이 어떤 게임을 선호하는 지 보면 알 수있죠.) 그 반대로 만화는 점점 반폭력적으로 흘러가야 하다니... 그러니 유치한 결과물 밖에는 나올 수가 없는 것이죠.(네이버에 초빼이라는 닉네임을 사용하시는 분의 글을 읽고 인용해봤습니다.) 요즘 아이들의 의식 수준은 상당히 높아졌습니다. 한강이 열리고 태권브이가 나올 거라는 상상은 하지 않아요. 무조건적인 제재보다는 의식수준에 맞는 교육과 무엇이 아이들의 문화적인 소양에 영향을 미치는 가에 대한 연구가 더욱더 필요할 것입니다. 어쨌든 만화 입장에서는 아이들을 위한다는 제재가 유치한 결과물 => 흥행참패라는 공식을 성립시키는 것입니다.
토이님// 당시에 한국 로봇만화들은 대부분 일본만화의 로봇을 그대로 배껴오는게 많았습니다. 저도 어렸을때 "똘이와 제타로보트"를 무척 재미있게 봤었는데 나중에 알고보니 로봇은 바이오맨에 나오던 로봇을 베낀것이더라구요. '바이오맨이 똘이와 제타로보트의 로봇을 베꼈다'라고 생각하지 못한 이유중에 하나가 저런식의 베끼기를 수없이 봐 왔기 때문이었어요.
스페이스 간담V라는 만화에 나오는 로봇은 일본만화중 마크로스의 로봇을 그대로 가져다 이름만 바꾼것이더라구요.
http://cafe181.daum.net/_c21_/bbs_search_read?grpid=rqTD&fldid=1lJM&contentval=000B0zzzzzzzzzzzzzzzzzzzzzzzzz&nenc=yfvjZBsbePNOKUUXy5qbMQ00&dataid=682&fenc=h6bkM8CYm8k0&docid=CDb80bh4
이곳에 스페이스 간담V의 포스터가 있습니다...OTL
태권브이 외에도 우리나라에서 제작한 수많은 수많은 추억속의 로봇만화들이 있었지만 유독 태권브이만 21세기에와서도 부곽시키는게 가능했던 이유가 태권브이만 디자인이 우리나라의 로봇이었기 때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다른 만화들은 모두 로봇디자인을 베껴온 것이기에..ㅜㅜ
우뢰매에 등장했던 로봇마저도 일본 로봇을 베껴온 것이었더군요. 이때는 스페이스간담V의 마크로스 베끼기보다 저에겐 더 충격이었습니다...;;
http://kr.dcinside6.imagesearch.yahoo.com/zb40/zboard.php?id=video_game&page=1008&sn1=&divpage=13&banner=&sn=off&ss=on&sc=off&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49963
음... 공감과 비공감이 뒤섞이네요..
뭐.. 일본의 다양성과 수 많은 인프라..
그에 비해 열악한 우리의 현실...
때문에 우리가 시도해볼 수 있는 다양성은 부족했을 듯 하네요.
시간이야 같이 주어지겠지만..
인력과 자본의 범위가 엄청 차이나죠.
그리고 일본의 주력 로봇들.. 가령 예로 건담..
사무라이의 미묘한 부분들이 배어 있습니다.
가이낙스의 메카닉인 저놈들은 상당히 파격적이지만...
일본 로봇물의 면면을 상세하게 뜯다보면...
옅게나마 사무라이가 떠오르죠..
여튼.. 그걸루 접근할 이야긴 아니니깐 생략하고..
우리나라에서의 태권V의 입지를 부정해서는 안될 것 같고..
너무 열악한 인프라를 아쉬워해야할 듯 합니다.
근 몇 년 동안 다양한 시도가 있었지만...
아직 많이 역부족인 듯 합니다.
기획/사운드/스토리 기타 등등... 엄청 열악하죠.
다만... 2d든 3d든 그려내는 테크닉은 정말 어느 나라에도 뒤지지 않습니다.
그릴 줄은 아는데.. 어찌 전개하느냐와 얼마나 시간과 돈을 들여 완성도를 높이는가란
문제 앞에선 여전히 답답해지는게 사실이네요.
여튼.. 우리 애니메이션계도 이제 서서히 일어나길 바랍니다.
로봇물은 다음으로 치더라도... 소소한 시작부터 이미 좋은 징조들이 보이고 있죠.
단독 제작이든... 협력 제작이든.. 좋은 시작이 보이기에..
댓글을 달아 주세요
제타로봇인가.. 저거 바이오맨에 매카닉하고 똑같네요 완전--
토이님// 당시에 한국 로봇만화들은 대부분 일본만화의 로봇을 그대로 배껴오는게 많았습니다. 저도 어렸을때 "똘이와 제타로보트"를 무척 재미있게 봤었는데 나중에 알고보니 로봇은 바이오맨에 나오던 로봇을 베낀것이더라구요. '바이오맨이 똘이와 제타로보트의 로봇을 베꼈다'라고 생각하지 못한 이유중에 하나가 저런식의 베끼기를 수없이 봐 왔기 때문이었어요.
스페이스 간담V라는 만화에 나오는 로봇은 일본만화중 마크로스의 로봇을 그대로 가져다 이름만 바꾼것이더라구요.
http://cafe181.daum.net/_c21_/bbs_search_read?grpid=rqTD&fldid=1lJM&contentval=000B0zzzzzzzzzzzzzzzzzzzzzzzzz&nenc=yfvjZBsbePNOKUUXy5qbMQ00&dataid=682&fenc=h6bkM8CYm8k0&docid=CDb80bh4
이곳에 스페이스 간담V의 포스터가 있습니다...OTL
태권브이 외에도 우리나라에서 제작한 수많은 수많은 추억속의 로봇만화들이 있었지만 유독 태권브이만 21세기에와서도 부곽시키는게 가능했던 이유가 태권브이만 디자인이 우리나라의 로봇이었기 때문이 아닌가 싶습니다. 다른 만화들은 모두 로봇디자인을 베껴온 것이기에..ㅜㅜ
우뢰매에 등장했던 로봇마저도 일본 로봇을 베껴온 것이었더군요. 이때는 스페이스간담V의 마크로스 베끼기보다 저에겐 더 충격이었습니다...;;
http://kr.dcinside6.imagesearch.yahoo.com/zb40/zboard.php?id=video_game&page=1008&sn1=&divpage=13&banner=&sn=off&ss=on&sc=off&select_arrange=headnum&desc=asc&no=49963
우뢰매의 경우는 라이센스(?)를 얻어 만든 경우라고 들었습니다.
좋은 의견, 좋은 글 잘 보고 갑니다.
예전 생각도 새록새록 나네요.
우리나라 에니메이션의 한계는 기술이 아닌 소재의 부재라는 점에 적극 동감합니다.
공감되는 내용이 한두가지가 아니네요 ^-^
확실히 사사로운 것 하나에서도 한국을 내세우고 표출하려고 하는
기획 컨셉이 답답하게 느껴지는 人중 하나입니다 (웃음)
라젠카도 아마 마케팅 할때 "한국스러운 메카 디자인"을
내세운걸로 기억하고 있는데, 방영시 제 뇌리속에 남는건
신해철씨 음악밖에 없더군요 ;ㅅ;
솔직히 바라보는 입장으로는 "도대체 어떤부분이 한국다운거지?"
라고 씁쓸하게 바라봤으니까요.
기술력이야 정말 우리나라가 최고죠 -ㅅ-b
비록 흥행에 실패하기는 했지만 원더풀데이즈만 봐도..
화려한 비쥬얼은 입이 딱 벌어져서 지켜봤으니까요.
틀을 정해놓고 무언가 창조한다는게 어마어마하게 어려운일이라는건
전문적으로 일하시는 분들이 더 잘알고 계실꺼라고 생각하는데..
애매한 기준을 정해놓고 표현의 자유를 놓치는것보다는
풍부한 기획을 지닌 콘텐츠로 한국을 알렸으면 하는 바램입니다.
좋은글 감사합니다~
그래도 역대 국내 어떤 로봇보다도
태권브이가 한국다운 이미지를 가지긴 했죠.
하지만 태권브이에 머무르지말고
21세기를 이끌어갈 진정 한국적인
로보트 캐릭터가 나오면 더 좋겠습니다~
음... 공감과 비공감이 뒤섞이네요..
뭐.. 일본의 다양성과 수 많은 인프라..
그에 비해 열악한 우리의 현실...
때문에 우리가 시도해볼 수 있는 다양성은 부족했을 듯 하네요.
시간이야 같이 주어지겠지만..
인력과 자본의 범위가 엄청 차이나죠.
그리고 일본의 주력 로봇들.. 가령 예로 건담..
사무라이의 미묘한 부분들이 배어 있습니다.
가이낙스의 메카닉인 저놈들은 상당히 파격적이지만...
일본 로봇물의 면면을 상세하게 뜯다보면...
옅게나마 사무라이가 떠오르죠..
여튼.. 그걸루 접근할 이야긴 아니니깐 생략하고..
우리나라에서의 태권V의 입지를 부정해서는 안될 것 같고..
너무 열악한 인프라를 아쉬워해야할 듯 합니다.
근 몇 년 동안 다양한 시도가 있었지만...
아직 많이 역부족인 듯 합니다.
기획/사운드/스토리 기타 등등... 엄청 열악하죠.
다만... 2d든 3d든 그려내는 테크닉은 정말 어느 나라에도 뒤지지 않습니다.
그릴 줄은 아는데.. 어찌 전개하느냐와 얼마나 시간과 돈을 들여 완성도를 높이는가란
문제 앞에선 여전히 답답해지는게 사실이네요.
여튼.. 우리 애니메이션계도 이제 서서히 일어나길 바랍니다.
로봇물은 다음으로 치더라도... 소소한 시작부터 이미 좋은 징조들이 보이고 있죠.
단독 제작이든... 협력 제작이든.. 좋은 시작이 보이기에..
일본 메카닉 애니메이션에도 일본적인 요소가 많이 녹아있습니다. 어떨 때에는 대놓고 노출시킬 때도 있고요. 벚꽃잎이 흩날린다든가 많은 작품에서 필살기로 총이 아니라 검을 사용(사무라이)하는 걸 예로 들 수 있겠네요.
일본적인 요소 빠트린게 하나 있길래 추가하려구요
건담의 머리모양 특히 이마중앙의 뿔(?)부분은 일본투구에서 갖고 왔습니다.
라젠카가 있었죠.
개인적으로 재밌게 봤었고, 만화책으로도 구입했었는데요..
태권브이 만큼의 인지도를 얻지 못해서 아쉽네요-